집중호우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 수해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, 물과 관련된 수인성 감염병의 위험성도 커지고 있습니다.
수인성 감염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한 질병이기에,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예방수칙을 소개드릴게요.
💧 수인성 감염병이란 무엇인가요?
수인성 감염병(waterborne infectious diseases)이란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을 말합니다. 집중호우, 침수, 상하수도 파손 등으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면 병원성 미생물이 급속히 퍼질 수 있습니다.
대표적인 수인성 감염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:
- 장티푸스
- 이질
- 콜레라
- A형 간염
- 레지오넬라증(냉각탑 감염)
- 유행성 눈병(결막염, 각막염)
🧼 1. 손 씻기, 가장 기본이지만 강력한 예방법
오염된 물과의 접촉 후 반드시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가 중요합니다.
손 씻는 타이밍 예시:
- 화장실 사용 후
- 음식 조리 전후
- 외출 후 귀가 시
- 상처를 만지기 전
감염병 예방의 첫 걸음은 바로 손 위생입니다.
🚰 2. 수돗물은 반드시 끓여서 마시세요
집중호우 이후에는 수돗물에 오염 물질이 섞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정수기 물도 100% 안전하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, 끓인 물을 마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TIP: 물을 3~5분 이상 끓이면 대부분의 세균과 바이러스가 사멸됩니다.
🍚 3. 음식물은 완전히 익혀 드세요
비위생적인 환경에서는 음식도 쉽게 오염됩니다.
익히지 않은 회, 덜 익은 고기, 샐러드류 등은 감염 가능성이 높으니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합니다.
주의할 음식:
- 회, 굴 등 날 음식
- 김밥, 샌드위치 등 조리 후 장시간 방치된 음식
- 물에 닿은 과일이나 채소
🚿 4. 침수지역에서는 피부 상처 관리 철저히
침수된 물에 들어갔다면, 피부에 작은 상처라도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.
상처 부위를 깨끗이 씻고 소독한 후, 방수밴드나 붕대로 감싸세요.
특히 레지오넬라균, 비브리오균은 상처를 통해 감염되기도 합니다.
🏚️ 5. 침수된 집, 건물은 반드시 소독하세요
집이나 가게가 침수되었다면, 청소와 소독은 필수입니다.
다음과 같은 순서로 소독하세요:
- 오염된 물을 완전히 제거
- 물로 깨끗이 씻어냄
- 락스(차아염소산나트륨)를 물에 희석해 바닥, 벽, 가구 등을 소독
- 완전히 건조 후 재사용
소독용 희석 비율 예시:
- 락스 : 물 = 1 : 100 (500ppm 수준)
👨⚕️ 6.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 방문
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을 경우, 수인성 감염병을 의심하고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하세요.
- 설사, 구토, 복통
- 고열, 오한
- 피부 발진 또는 상처 감염
- 눈 충혈, 가려움증
빠른 치료가 합병증 예방의 핵심입니다.
📦 7. 개인 방역용품 준비하기
재난 상황일수록 스스로 지킬 수 있는 대비가 중요합니다.
다음의 개인 위생용품을 구비해두면 좋습니다:
- 휴대용 손 소독제
- 일회용 장갑
- 마스크
- 방수 밴드
- 생수, 멸균된 음식류
- 소독약(베타딘, 알코올 등)
🚨 정부가 권고하는 감염병 대응수칙도 확인하세요
질병관리청(KDCA)이나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는 집중호우와 감염병 관련 공식 대응 지침을 제공합니다.
주기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, **예방접종(예: A형 간염 예방접종)**도 고려해 보세요.
✅ 마무리하며: 건강은 스스로 지키는 것부터
수해 피해는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, 수인성 감염병은 대비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.
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가족과 이웃의 건강을 지키는 길이 됩니다.
수해 지역에 계신 분들 모두 건강 유의하시고, 빠른 복구와 안정을 기원합니다.
'건강과 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름 바닷가 필수 아이템! 비치웨어 & 래쉬가드 완벽 가이드 (1) | 2025.07.21 |
---|---|
무더운 여름, 인테리어로 시원함을 더하다 (0) | 2025.07.19 |
여름휴가철, 안전한 물놀이가 가장 중요해요! (2) | 2025.07.19 |
장마철, 왜 제습이 필요할까요? (1) | 2025.07.19 |
여름철 피부 보호 필수템, 왜 썬크림이 중요할까? (4) | 2025.07.18 |
장마철, 왜 홈트가 필요할까요? (5) | 2025.07.17 |
더위야 물렀거라! (7) | 2025.07.17 |
여름철 불청객 모기, 어떻게 쫓을까? (4) | 2025.07.16 |